앞으로 쓸 것들을 정리할 겸 그냥 잡담을 끄적이기 위해 적으러 왔다.

 

지금 어떤 상황인지 간략하게 적어보자면 졸업 작품 시즌에 1학기 기말고사 직전, 4학년 졸업반 취업 시즌이다.

계속 취업 준비는 하고 있고, 기말고사는 슬슬 준비해야 할 때다.

머 이것들은 상관 없고 지금 졸업 작품 시기라는 게 중요한 거다.

왜냐? 지금 언리얼 엔진을 사용해서 PC VR 플랫폼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고래서 앞으로의 계획을 적으로 온 거다.

내가 안 까먹도록...

 

일주일에 한 개 이상씩은 언리얼 관련해서 개발했던 내역이나 방법 위주로 올리려고 한다.

이걸 기록하는 용도도 있겠지만 사실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주고픈 이유가 더 크다.

 

내가 언리얼을 C++로 개발을 시작한 지 이제 3달쯤 된 거 같은데 초반 한 달이 진짜 정말 힘들었다.

유니티 같은 경우는 정말 자료가 많다. 진짜다!

근데 언리얼은? 아쉽게도 C++ 자료가 너무 적은 거 같다... 블루프린트 때문인가?

그래서 앞으로 언리얼은 내가 처음 C++로 개발하면서 들이박았던 일대기들 위주로 적으면서 고생했던 것들 혹은 팁들 같은 거 위주로 올릴 것이다.

 

아마 첫 내용은 언리얼 C++ 구조나, 변수 등 간략하게 설명을 하는 시간이 될 거 같다.

그리고 차차 VR 폰 제작, IOCP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소켓 네트워크 등등 고생했던 일대기들을 해처 나가는 과정들을 적을 것이다.

 

부족할 수 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길...

 

 

그리고 틈틈이 공부하면서 C++ 관련 기술들이나 알고리즘 문제들을 엮어서 적을 예정이다.

특히 알고리즘에 집중하면서 적을 것 같다. 따로 공부를 안하고 있다가 최근에서야 부랴부랴 공부를 하고 있으니...

이것들은 복습 겸해서 간단하게 적을 예정이다.

 

꾸준히 적어가며 학술적인 면에서의 일기가 되어주기 바라며 이만 잡담을 마치려고 한다.

 

SSG 닷컴에서 로젠택배로 받아왔습니다.

 

조립이 완료된 사진입니다.

 

조립사진은 이정도면 됬고 바로 테스트를 해봐야겠죠?

 

테스트 사양입니다.

CPU i7 12700K

Cooler Deepcool AK620

MB MSI B660M 박격포 WIFI DDR4

Memory 크루셜 Ballistirx D4 3200 CL16 16GB (x2)

GPU Evga RTX 3080 ftw3 12GB

Power Superflower SF-1000F14MP LEADEX PLATINUM SE

OS Windows 10

 

*메모리만 XMP를 적용해준 것외에는 별다른 설정을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테스트로는 cpu-z 벤치, 3DMark, 그리고 Unreal Engine, Minecraft(RTX)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먼저 cpu-z 결과입니다.

CPU 벤치결과 이젠세대 최상위 라인업인 11900K와 비교하여 싱글스레드는 112%, 멀티스레드는 140%의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
현 12세대 최고 라인업인 12900K와 비교하면 싱글스레드는 94%, 멀티스레드는 81%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이전 세대 (11900K)와 전력소모량은 125W로 동일합니다.

12세대에 적용된 인텔 10나노 공정의 성능향상을 보여주고있습니다.

 

다음으로는 3DMark 입니다.

 

3DMARK 벤치 프로그램의 점수입니다.
풀로드시에도 쓰로틀링이 없이 계속 유지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언리얼 엔진입니다.

테스트를 위해 에디터를 기본프로젝트로 띄워 플레이를 해보겠습니다.

 

엔진 에디터 외에 여러 프로그램이 있음에도 끊김이 없이 실행되는 모습입니다.

 

기본프로젝트로 열어 프로그램 점유율이 많지만 조립후 약 3주간 사용해보며 에디터 2개를 디버그 모드로 열어 실행시키고 서버를 같이 열어 테스트하면서도 문제없이 돌아갔습니다.

 

마지막으로 마인크래프트 RTX 맵을 열어 게임을 진행해보겠습니다.

RTX 3080의 레이트레이싱 기술 데모 맵을 열어 플레이를 진행하는 동안 60FPS가 꾸준하게 유지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테스트와 몇 주간의 실행활에서 사용하며 성능상의 부족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MSI의 치밀한 메인보드 전원부 설계를 통해 모든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덤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WIFI를 사용하거나 블루투스로 음악을 듣는 등 매우 좋은 환경을 제공해주는 MSI B660 WIFI DDR4 모델의 리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획 등등 끄적끄적...  (0) 2022.05.21
공랭 쿨러 리뷰 : AK620 화이트  (0) 2022.04.28

+ Recent posts